본문 바로가기
카메라, 렌즈

카메라 입문자를 위한 용어 정리 - ISO 감도

by 카메라와 사진을 좋아하는 블로거 2025. 4. 17.

안녕하세아!

오늘은 카메라 입문자를 위한 용어 정리 3탄, 바로 'ISO 감도'에 대해 아주 쉽게 풀어보려고 해요. (저도 처음에는 이게 무슨 외계어 같았던 기억이 나네요… 여러분 마음 알아요)

그럼, 오늘도 친근하게! 재미있게! 하나하나 차근차근 알아가 볼게요~

목차

1. ISO 감도란 무엇인가요?

'ISO 감도'는 카메라가 빛을 얼마나 민감하게 받아들이는지를 나타내는 숫자예요.
쉽게 말하면, ISO 값이 높을수록 적은 빛에도 사진이 밝게 찍히고, ISO 값이 낮을수록 밝은 곳에서 깨끗한 사진을 찍을 수 있어요.

(처음 들으면 '어...? 빛을 받아들이는 거랑 숫자가 무슨 상관이야?' 싶을 수 있어요. 저도 그랬어요.)

정리하자면:

  • ISO 낮음 (예: ISO 100, 200) → 빛이 많은 환경, 사진이 깨끗함
  • ISO 높음 (예: ISO 1600, 3200) → 빛이 부족한 환경, 대신 사진에 노이즈가 생길 수 있음

2. ISO 감도를 왜 조정하나요?

카메라는 사진을 찍을 때 이 정말 중요해요. 근데, 상황에 따라 빛이 너무 많거나 너무 부족할 수 있잖아요?

이럴 때 ISO 조정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 햇빛 쨍쨍한 낮 : ISO 100으로도 충분해요. (빛이 넘치니까요!)
  • 어두운 실내 : ISO 800~1600 정도로 올려줘야 밝게 찍혀요.
  • 야경이나 별 사진 : ISO 3200 이상까지도 필요할 수 있어요.

(여기서 꿀팁 하나! 야경 촬영할 때 삼각대를 같이 쓰면 ISO를 낮게 유지하면서도 깨끗한 사진을 찍을 수 있어요!)

3. ISO를 높이면 무조건 좋은가요?

아쉽게도 그렇진 않습니다...

ISO를 높이면 밝기는 밝아지지만, 사진에 '노이즈'라는 게 생길 수 있어요.
노이즈는 사진을 흐릿하고 거칠게 보이게 만드는 작은 점 같은 것들이에요. (마치 TV에 지지직~ 노이즈 들어간 화면 아시죠? 그 비슷한 느낌)

그래서 좋은 사진을 위해서는 가능하면 ISO를 낮게 유지하는 게 좋아요.

(하지만 너무 어두우면 ISO를 올리는 수밖에 없어요! '깨끗한 어두운 사진'은 없다고 생각하면 편해요!)

4. ISO 감도 설정, 어떻게 해야 할까?

처음 입문자라면 이 방법을 추천할게요!

  • 낮에는 ISO 100~200 고정
    햇빛이 강하거나 밝은 환경에서는 낮은 ISO로 선명한 사진을 찍어요.
  • 실내나 흐린 날에는 ISO 400~800
    빛이 조금 부족할 때 살짝만 ISO를 올려줘요.
  • 야경이나 어두운 실내에서는 ISO 1600 이상
    최대한 삼각대 사용! (삼각대가 있으면 ISO를 낮추고 셔터 속도를 길게 설정할 수 있어요)

(저도 입문할 때 "무조건 ISO 100 고정이다!" 하다가 어두운 실내에서 깜깜한 사진만 잔뜩 찍었었어요... 그때 알았죠, 유연함이 필요하다는 걸.)

정리 - ISO 감도는 이렇게 기억하세요!

  • ISO는 빛에 대한 민감도를 뜻해요.
  • ISO 낮게 = 깨끗한 사진 (빛 많을 때)
  • ISO 높게 = 밝은 사진 (빛 부족할 때) 하지만 노이즈 주의!
  •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조절하는 게 최고!

(사진은 과학이면서도 감성이더라고요. 너무 규칙에 얽매이지 말고, 많이 찍어보면서 감을 잡는 게 진짜 정답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