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아!😊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실 Sigma 16-300mm F3.5-6.7 DC OS Contemporary와 Tamron 18-300mm F3.5-6.3을 비교해보려고 해요.
하나의 렌즈로 광각부터 망원까지 모두 커버하고 싶다면 줌렌즈 선택이 중요한데요, 과연 두 렌즈 중 어떤 제품이 더 매력적일까요?
스펙 비교부터 실제 특장점까지 꼼꼼하게 분석해 봤으니 끝까지 함께 봐주세요!
1. 주요 스펙 비교
우선, 두 렌즈의 기본적인 사양을 살펴볼게요.
초점 거리 | 16-300mm | 18-300mm |
최대 개방 조리개 | F3.5-6.7 | F3.5-6.3 |
조리개 날 수 | 9개 | 7개 |
최소 초점 거리 | 0.39m | 0.15m |
손떨림 보정 (OS/VC) | 있음 | 있음 |
무게 | 약 540g | 약 620g |
필터 직경 | 67mm | 67mm |
✔ 첫 번째 차이점: 시그마는 광각이 16mm로 좀 더 넓다는 장점이 있어요!
✔ 두 번째 차이점: 탐론은 최소 초점 거리(접사 성능)가 더 우수해서 클로즈업 촬영에 강해요.


2. 실제 사용해본 느낌은?
가. 시그마 16-300mm — "조금 더 넓은 화각이 필요할 때"
- 광각 16mm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풍경 촬영이나 실내 촬영에서 조금 더 넓은 구도를 만들 수 있는 것이 장점이에요.
- 조리개 날이 9개라서 보케 표현이 더 부드럽게 나오며, 주변부 화질도 괜찮습니다.
- 크기와 무게가 탐론보다 조금 가볍다는 점도 여행용으로 긍정적인 요소!
💡 추천 : 풍경 및 다용도 촬영을 많이 하는 분, 광각 촬영이 필요한 경우
나. 탐론 18-300mm — "접사와 빠른 AF가 강점"
- 최소 초점 거리가 0.15m로, 정말 가까운 거리에서 피사체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어요.
- AF(자동 초점) 성능이 빠르고 조용해서 동영상 촬영에도 적합한 편입니다.
- 망원 300mm에서도 비교적 괜찮은 선예도를 유지하는 점이 인상적!
💡 추천 : 접사 촬영이 많거나, 영상 촬영까지 고려하는 분
3. 최종 선택은?
두 렌즈 모두 장단점이 명확하죠?
✔ 광각(16mm)과 가벼운 렌즈를 원한다면 → 시그마 16-300mm
✔ 접사와 부드러운 영상 촬영을 원한다면 → 탐론 18-300mm
개인적으로는 광각과 보케 표현이 중요한 경우 시그마
접사가 중요한 경우 탐론을 추천드려요! 😊
👉 여러분은 어떤 렌즈가 더 마음에 드시나요? 🤔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도 함께 나눠주세요! 📩
📢 최신 카메라 & 렌즈 소식, 다음 포스팅도 기대해 주세요! 😃
'카메라, 렌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니 IMX811 CMOS 센서 발표 - 무려 247MP (0) | 2025.03.15 |
---|---|
Leica 유저를 위한 감성 렌즈, Thypoch Simera 75mm f/1.4 출시! (0) | 2025.03.13 |
후지필름 GFX100RF 가격 유출! 5,000달러대 중형 포맷 카메라의 등장 (0) | 2025.03.12 |
카메라 입문자를 위한 용어 정리 - 셔터스피드 (0) | 2025.03.11 |
카메라 입문자를 위한 용어 정리 - 조리개 (1) | 2025.03.10 |